반응형

첫 포스팅 글은 어떤 것으로 쓰는게 좋을까 고민하다가 하드웨어 환경에 대해서 작성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처음 서버 준비를 할 때, 여러 개의 공인 IP를 쓰는 사람들은 어떤 장비를 사용할까에 대해 궁금했습니다.

저는 현재 고정된 공인 IP (Static Public IP) 를 5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 가정집에서 서버 구축을 위한 멀티 IP를 5개나 쓰는 사람은 한국에서는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장비가 이어지는 순서대로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케이블 모뎀 (Cable Modem)

 

   

제가 사용하는 ISP는 SK Broadband (이후 SK로 표기) 입니다. 아파트가 아닌 관계로 광랜 100M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하나로 통신 때부터 쭉 이용하였으니 10년은 훨씬 넘었네요. 현재 일반 가정 상품에서 고정 IP를 이용하려면 SK 이외에는 별도의 VPN 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요금이 비싸거나 속도가 느린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SK 의 부가서비스인 파워 IP 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http://www.skbroadband.com/product/internet/Page.do?retUrl=/product/internet/add/Power

   

가격표를 보시면 1개만 신청할 경우 35,000원 이며, 1개를 추가할 때 마다 5,000원을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구조입니다. 여러 개를 사용할 수록 1개의 IP당 부담금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5개를 사용하면 부가세 포함하여 1개당 1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이 계산됩니다. 다만 6~13개는 22만원으로 이용하기에는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저의 서버는 유동 IP 1개 + 고정 IP 5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기본 인터넷 요금 + 파워 IP 로 계산 됩니다.

   

여기서 고정 IP 비용은 1달이 되지 않아서 53000원으로 표기되었지만 다음달부터는 55000원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러면 대략 84,000원 정도 인터넷 요금이 사용되는 됩니다. 비싸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저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서 월 8900원의 핸드폰 요금과 SK Wibro 이용료 5500 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남들보다 돈을 많이 낸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나중에 Exchange, Lync Server 등을 포스팅하게 되면 IP가 여러 개 필요한 이유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의 장비는 케이블 모뎀에서 Multi IP를 받아줄 L3 스위치 허브에 대해 소개합니다.

   

2. HP 1910-8 Switch JG536A (Layer 3 Switch Hub)

   

   

처음 파워 IP를 신청하고 단순히 Hyper-V 가상머신에 IP를 부여하면 사용 가능한 줄 알았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무식하고 네트워크 지식이 정말 없었습니다.) 이게 왠 걸… 기사가 알려준 IP로는 가상 머신에 부여가 되지 않았습니다. 기사는 스위치 허브가 필요하다고 하여 IP Time 것을 구입하였습니다…. 결과는 망..했습니다. 이 역시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주변 사람의 조언으로 L3 장비가 필요할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무엇을 살까 굉장히 망설였습니다. L3 장비부터는 10만원 이하가 없었으며, 어떠한 가이드 라인도 없었습니다.

단순히 가장 저렴하고 미래를 생각하였을 때에 기가비트 지원하는 장비를 구입하였습니다.

바로 HP 1910-8 JG536A 입니다.

http://prod.danawa.com/list/?cate=1131634

   

세계적으로 서버 네트워크 장비의 대부분은 CISCO 를 사용합니다. 네트워크를 전문적으로 공부하시는 분들은 자격증 하나씩 있을 법한 CCNA 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CISCO 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가격

- 같은 기가비트에 L3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2배이상을 지불해야 합니다. 또한 기기마다 별도의 라이선스가 판매되어 기능 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2) 편리성

- 네트워크 전문가 관련 카페에 가입해보면 설명이 대부분 콘솔포트 및 명령어를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공부하면서 하기에는 너무 시간을 많이 투자해서 비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결국 HP 장비를 구입하여 이것 저것 알아보고 설정한 끝에 SK 에서 들어오는 IP 를 VM 에 부여하는 방법을 터득하였습니다. 설정 부분에 대한 것은 다음 기회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VM 을 구축하다 알게된 사실로 L2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문제 없이 IP가 잡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중요한 조건은 VM에 Mac Address가 일반 Lan카드에서 사용하는 부분이 입력되어야합니다.

   

3. ipTIME 유무선 공유기 (NAT)

   

   

다음 설명드릴 장비는 ipTIME 공유기 입니다. NAT, Router 혹은 Firewall 장비의 개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현재 장비가 연결된 흐름은 기본적으로

ISP - Cable Modem - L3 Switch Hub - NAT - PC (LAN) 순으로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L3 장비에서도 DHCP 기능을 이용하여 사설 IP (Private IP) 를 뿌려주는 것은 가능하시만 그렇게 하려면 Vlan을 나눠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각각의 공유기는 고정 공인 IP (Static Public IP)를 1개만 받아올 수 있습니다. 단순히 설정페이지에서 설정한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사용하는 유효한 MAC Address를 입력해야만 시간이 지나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기가비트 지원되지 않는 장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추후 기가비트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IP를 5개 사용해야 한다면 5개의 NAT 장비가 있어야 하나요?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 또한 Hyper-V 네트워크 설정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서버 본체 PC

   

   

PC 사양

CPU: i7-4770

Mainboard: ASUS H87 PRO

VGA: Intel HD 4600

RAM: Samsung DDR3 12800 32GB

SSD: Toshiba 512 GB

HDD: WD 3TB, 1TB

LAN: Realtek Gigabit 3개

   

사양을 보면 의아해 할 수 있습니다. 어라? 왜 제온 (Xeon) 이 아니지?

사실 처음에 PC를 구입하였을 때에는 게임이 목적이고 서버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드림스파크 등록을 하고 Exchange Server 구축에 관심을 갖던 때에 아크몬드 님의 블로그를 보다가 구성을 시작하였습니다.

(아크몬드넷 http://archmond.net/)

   

SSD도 처음에는 250GB SAMSUNG 840 EVO 를 게임용으로 이용하다가 고용량이 필요해서 512 GB로 변경하였습니다.

각각의 VHD 파일들이 빠르게 동작하기 위해선 SSD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픽 카드의 경우 게임을 할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GTX 660을 이용하다가 내장 그래픽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랜카드도 나중에 PCI 슬롯용으로 2개를 추가하게 된 것입니다.

   

   

첫 번째 글을 간단하게 작성하려고 하였는데 욕심이 생기다 보니 점점 길어지게 되었네요.

각각의 장비 설정 부분은 나중에 따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Domain) 등록 및 구입  (0) 2015.02.24

+ Recent posts